온라인 가상오피스 도입
'오비스코리아'의 웨비나 진행
하이브리드 근무환경에서의 생산성 향상 비법
![](https://blog.kakaocdn.net/dn/cdLuTz/btsJKELYLDK/JDcA6Jlyq7Imdiq1gPt0Gk/img.png)
지난 9월 23일(월) 오후 2시 오비스는 '하이브리드 근무환경에서 직원의 생산성을 100% 높이는 3가지 포인트'를 주제로 오비스를 사용하여 웨비나를 진행했다. 글로벌 커뮤니케이션 협업툴 오비스(oVice)는 가상오피스를 구현하여 하이브리드 근무환경을 지향한다. 누구나 어디에 있든 연결되어 있다는 느낌을 주고, 원격 하에서도 근무환경이 원활이 소통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오비스의 목표다.
엔데믹 이후의 원격근무
엔데믹 이후에 다시 회사로 돌아가서 근무를 하는 백투오피스의 사례가 늘어났고, 원격근무의 효율성과 함께 적응하며 원격근무로 성장하던 인재들의 방출이 일어나 여러 회사들이 곤란한 상황에 처하게 되었다. 이에, 오피스와 원격근무의 사이에서 하이브리드 근무가 부상하게 됐다.
![](https://blog.kakaocdn.net/dn/blzPpV/btsJLaKkHSP/tDehnmwlUXGzTa62kAA82K/img.jpg)
코로나 이후의 원격근무
원격근무의 장점은 집에서 근무를 하면서 출퇴근 시간을 아끼고 가족과 많은 시간을 보낼 수 있다는 것이다. 시간의 효율적인 사용, 이전 출퇴근제보다 시간대비 효율성의 상승으로 인한 매출상승, 더 많은 고객사들의 확충, 직원들의 만족도 증가, 직원들의 퇴사율의 감소와 같은 장점이 있다.
하지만 오히려 원격근무만 했을 경우에는 집에서 쉼없이 일을 하여 과로, 번아웃이 오는 경우가 많다. 또한, 모든 업무소통을 텍스트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대면상황보다 결정의 효율성이 낮기도 하고, 줌으로 미팅을 할 때를 제외하고 혼자서 일을 하기 때문에 고립감을 느끼고, 회사로의 소속감을 느끼기가 어렵다. 회사와 집의 경계가 뚜렷하지 않아 이로부터 느껴지는 피로감도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lTots/btsJJcQV0Vb/OadoEE5iMxosbKxOcJqlK1/img.png)
하이브리드 근무환경의 장점
이에 비해 하이브리드 근무환경은 둘의 단점을 커버할 수 있다는 것에 큰 장점이 있다. 하이브리드 근무환경을 지향하는 툴, 업무용 메타버스 오비스는 다른 원격 시스템과 다르게 각 직원들의 현재 상태와 실시간으로 공유할 내용이 전달되고, 끊기지 않고 항상 접속해 있기 때문에 직원들의 상황을 확인하며 여유롭게 미팅을 진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현재 코로나 이후로 대부분의 회사들이 출퇴근제로 옮겨갔지만 여전히 근무에 대해 불만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젊은 우수 인재들을 외부에 유출되지 않도록 방지하기 위한 이유도 하이브리드 근무를 하는 목적이기도 하다.
오비스는 말하고자 하는 것을 바로 텍스트로 남기고 요약정리까지 할 수 있는 녹화실 기능이 탑재해 있으며, 멀티 화면 공유가 가능하고, 여러 비즈니스에 특화된 장점이 있다는 점에서 유용하다.
대학에서 오리엔테이션 용으로, 졸업생들에게는 취업박람회로, 사내에서는 교육 용도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하이브리드 근무형태를 실천할 경우, 현장근무과 원격근무 정보의 격차, 새로운 제도 도입과 시도에 따른 불만사항이 구조적으로 발생할 수 있으므로, 미팅 후에는 오비스에 회의록을 반드시 남기고, 회의록 외에서 결정되는 일이 없도록 경영진, 관리자부터 원격 근무 실천해야 한다.
또한, 책임과 권한을 뚜렷하게 하기 위하여 원격 근무의 책임자를 지명하여 관리를 하고, 원활한 업무 소통을 위해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만들어, 이로써 상태 표시를 한눈에 파악이 가능하도록 규칙, 규정을 명확히 정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비즈니스 사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예총 서울특별시연합회, 조직체계 강화 (8) | 2024.09.24 |
---|---|
생각하지 않는 전문가들, 생각하는 전문가들 (3) | 2024.09.24 |
_트랩_: 거리감으로 설명하는 스릴러이자 가족영화 (1) | 2024.09.23 |
채무자에게 관대해지는 ‘개인채무자보호법’의 시행을 앞두다 (2) | 2024.09.23 |
한국 딜로이트 그룹, 급변하는 금융 산업의 기회와 리스크 대응 전략 제시 (2) | 2024.09.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