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비즈니스 사례

K-콘텐츠 확산은 AI를 타고…현재는 AI시대

728x90
반응형
SMALL
한국콘텐츠정책 연구센터 송진 센터장 “콘텐츠 생산과 AI 협업은 필수라고 생각”
웨이브아메리카스 박근희 대표 “외부 콘텐츠 디스커버를 연결시키고 계속 콘텐츠가 어디 있는지 끌어들여야 한다”
기술이 발전되면 비용이 절감, 서비스의 퀼리티를 높이면 높일수록 비용은 올라간다

 

6월 13일 서울시 중구 청계천로 40 CKL기업지원센터 지하 1층(CKL 스테이지)에서 ‘2024 콘텐츠산업포럼’이 진행됐다. ‘2024 콘텐츠산업포럼’은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콘텐츠진흥원이 개최한 행사로 6월 12일(수)부터 6월 14일(금)까지 3일간 서울 광화문 CKL 스테이지에서 개최한다.

올해 콘텐츠산업포럼은 ‘인공지능 일상화, 콘텐츠 창작 현장의 기회와 도전’을 주제로 ▲정책 ▲게임 ▲이야기 ▲음악 ▲방송 등 5개 분야별 전문가가 발제자로 나서, 인공지능 기술이 콘텐츠산업 생태계에 미칠 영향을 분석하고, 정책 지원 및 대응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

6월 12일은 ‘AI가 이끄는 콘텐츠 산업혁명, 현재와 미래’라는 테마를 놓고 생성형 AI를 통한 콘텐츠 생성방식의 변화에대한 이건복 상무(마이크로소프트 솔루션사업부)가 기조 강연을 진행하며 이어서 글로벌 AI 거버넌스가 콘텐츠산업에 미칠 영향 (구태언 변호사 법무법인 린), AI를 활용한 ‘눈물의 여왕’ 제작과 VP의 전망 (안희수 팀장 CJ ENM), K-콘텐츠의 글로벌 경쟁력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필요성 (권한슬 감독 스튜디오프리윌루젼), 생성형 AI와 저작권 (김혜창 본부장 저작권위원회 정책연구본부) 등의 발제가 이어졌다.

6월 13일은 방송, 음악, 게임 산업 분야애 AI 영향에 대한 발제가 부문별로 이어지며 14일에는 ‘생성형 AI와의 공생과 창작의 미래’라는 발제를 통해 웹툰과 스토리에 미치는 AI의 영향을 알아본다.

한국콘텐츠정책 연구센터 송진 센터장은 “얼마 전 AI소라가 만든 영상을 보고 그 디테일과 생생함에 많이 놀랐을 것 같다. 콘텐츠 생산과 AI의 협업은 필수라고 생각한다. 새로운 콘텐츠 기획, 글로벌 시장 유통 측면에서 AI가 어떤 측면에서 활용이 될지 이야기하려고 한다”

“콘텐츠 산업이 어떠한 새로운 지평을 열수 있을지 어떻게 하면 활용하고 주도할 수 있을지 오늘 발제에 토론을 통해 우리가 무엇을 준비해야 되는지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을 거라 생각한다.”라며 개회사를 건넸다.

웨이브아메리카스 박근희 대표는 ‘K-콘텐츠 확산은 AI를 타고’라는 주제로 발제를 시작했다. 아래는 박근희 대표 발제 내용이다. 

저희 서비스명은 코코아다. 지금 글로벌에 73개국에 하고 있고 미국에서 설립된 법인이고 설립 초기부터 있던 임명이다. 최종 종착지는 웨이브아메리카스라고 이야기하고 있다. 넷플릭스 콘텐츠라고 이야기하지 한국에 누가 소유했는지 관심이 없다. 그들보다 좀 더 많은 시청 경험을 줄 수 있는 종착지라고 이야기한다.

4만 시간 정도 보유하고 있고 한국 밖에서는 가장 큰 학회 라이브러리라고 보시면 된다. B2C 서비스는 국미 유럽 대부분의 디바이스를 보유하고 있다. 73개국의 다양한 디바이스를 제때 전달해야 해서 굉장히 분주한 회사다.

모든 사업은 시간과 돈이 없는데 계속 가치를 창출해나가는 것이다. 미국에서 사업을 하려면 마케팅비가 많이 들어간다. 그래서 가장 큰 주요 사업자들에게 B2B 상품을 만들어 판매했다. 브랜드에 대한 신뢰성과 경험이 쌓여가기 시작했다. 요즘은 번들링의 시대다. 서비스를 하는 입장에선 콘텐츠를 발견하게 하는 게 굉장히 큰 하드다. 내 서비스를 어떻게 노출시키는지가 큰 문제다. 우리 플랫폼 안에서 콘텐츠를 디스커버하는 행위다. 플랫폼 외적에서 발견되는 행위다.

미디어 액션이라는 구글의 액션이 있다. 구글에서 어디에서 얼마를 내는지 알려준다. 외부 콘텐츠 디스커버를 연결시키고 계속 저희 콘텐츠가 어디 있는지 끌어들여야 한다.

현재는 AI 시대로 들어왔다. 저번달은 구글에서 개발자 포럼을 했는데 이제 제미나이를 적극 활용하겠다고 이야기했다. 다양한 입력 수단을 만든다는 이야기다. 여러 디바이스를 통해 결과를 알리는 것이다. 기존 검색 엔진이 좀 더 진보되는 것이다. 결과는 가장 합리적인 결과를 알려준다. 

AI는 답을 알려주는 행위다. 어떠한 형태로 서비스가 진보될지는 모르겠지만 플랫폼 입장에서는 AI를 어떻게 대응해야 될까에 대한 고민에 빠진다. 한국 콘텐츠를 가지고 해외 서비스를 하자니 어렵다. 

포스터, 썸네일 영역은 방송사엔 사전제작 개념이 없었는데 저희는 사전 제작이 안되는 서비스를 가지고 미국에서 서비스를 가지니까 시간이 굉장히 짧아서 결국은 포스터를 새로 만들어야 했다. 근데 AI에 이미지 프로 패싱을 쓰면 깔끔하게 사용할 수 있다. 퀼리티는 더 올라간다고 생각하면 된다.

서머리랑 리켑이 있다. 리켑은 예를 들면 일본 드라마를 미국 사람이 보면 이해를 못 한다. 이때 리켑을 이용하면 일본 역사 등 사전에 알아야 될 것들을 알 수 있다. 키워드는 해시태그 같은 걸 쓰는 것이다. 해시태그는 AI가 제일 잘 만들어준다. 오픈 AI들이 키워드를 제시한다는 건 가장 유효한 키워드를 가졌다는 것이다. 

가장 유효한 키워드가 무엇인지 인터넷 전체 트래픽을 보고 알려준다. 기술이 발전되면 비용이 절감된다. 서비스의 퀼리티를 높이면 높일수록 비용은 올라간다. 

유료로 돈을 받는 구독 모델이기 때문에 퀄리티를 낮추면은 서비스 가치가 떨어지고 콘텐츠 가치가 떨어지는 효과라고 한다. 그렇기 때문에 결국은 퀄리티를 포기할 수 없으므로 항상 딜리버리 산출물에 대한 가치에 대해 평가를 하는데 게을리하지 말아야 한다. AI 시대 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서비스 아키텍들이 굉장히 유연하게 만들어줘야 하고 마지막은 데이터들이다. 기존에 우리가 서비스를 해서 수집 단계의 데이터를 가지고 계속 평가를 해줘야 한다.

키워드로 검색을 한다. 인터넷 영역에 있는 가장 의미 있는 걸 수집한다. 봤을 때 무엇을 봐야되는지 모르니 검색했을때의 키워드를 미리 알려주는 것이다. 

좀 더 생각해 볼 수 있는 AI 영역은 언어, 나라, 규제를 고려해야 한다. 지역이 확장되면 너무 많아진다. 콘텐츠 자체에 AI에 적용할 사례들이 마케팅 영역이 많다. 이런 부분들에서 AI가 활용할 수 있다. AI가 다 개입이 될 거라 추측이 되고 있다. 

 

글/이예지 기자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