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SMALL

청년

(11)
나눔비타민, 따뜻한 식사로 4억 투자를 받을 수 있었던 비결은? ‘나비얌’ 서비스로 지역 상권과 결식 아동 연결하는 나눔비타민'키다리 언니’ 김하연 대표, 아동 급식의 새 지평을 열다‘나눔비타민’ 대형 플랫폼과 차별화된 경쟁력으로 주목'차가운 머리와 따뜻한 가슴’의 조직문화로 승부 김하연 대표가 설립한 나눔비타민은 결식 우려 아동들에게 따뜻한 식사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지역 상권과 아이들을 연결하는 기업이다. 교육봉사 경험에서 발견한 결식 아동 식사 접근성 문제를 해결하고자 창업한 김 대표는 ‘나비얌’ 서비스를 통해 아이들이 눈치 보지 않고 원하는 음식을 먹을 수 있도록 지역 상권과 연결하는 혁신적인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키다리 언니’라는 별명을 가진 그녀는 뒤에서 조용히 아이들을 지원하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고 있다. 기존 사회적 기업이 가진 사업..
정부가 청년 채용을 위해 ‘이것’을 했다 청년, 고용노동부와 함께 '내년도 일자리 예산안 편성 방향' 논의하자!2차 2030 자문단 정례회의 ‘청년 4다리 정책과제’ 추진성과 공유청년들의 의견, 내년도 예산안 반영할 계획이정한 고용정책실장 "청년수요 맞춤형 지원체계 구축해 일자리 정책 성과 극대화 되도록 지원" 고용노동부(장관 이정식) 2030 자문단은 5월 27일(월) 정부세종청사에서 2024년 제2차 정례회의를 열고 올 한 해 동안 새롭게 수행할 ‘청년의 내일을 위한 청년 4다리 정책과제’ 그간의 활동 성과와 향후 계획 등을 공유하고 내년도 일자리 예산안에 대한 의견수렴도 진행했다.청년보좌역과 2030 자문단은 그동안 청년 근로자의 연차휴가 등 휴식권 보호를 위한 근로감독 강화를 제안했으며, 이는 관련 증빙서류 점검을 의무화하는 내용으로 근..
연세대를 찾은 치킨대학 총장의 조언 꿈에 대한 고민은 그 길을 먼저 가본 사람이 가장 좋은 조언을 줄 수 있다. 이미 해본 사람은 그 길을 걸어오면서 고통과 시련 등을 가장 잘 알기 때문이다. 우리는 그들을 멘토라고 부른다. 멘토들의 이야기를 들을 수 있는 곳은 많지만 대표적으로 강연이다. 강연에서는 개인적으로 만나기 힘든 멘토들의 이야기를 듣고 질문을 하며 고민을 나눌 수 있기 때문이다. 지난 2024년 3월 30일 서울시 서대문구에 위치한 연세대학교 신촌캠퍼스 대강당에서 SHOW(너를 보여줘) ME YOURSELF라는 주제로 MBN Y포럼이 진행됐다. MBN Y포럼은 대한민국의 미래를 이끌어갈 2030세대, 젊은 세대에게 꿈과 비전을 심어주기 위해 매년 개최 되고 있는 청년 멘토링축제이다. 글로벌 리더와 세상을 바꾼 기술자, 꿈을 이룬..
한국 청년의 작년 한 해 삶 평가, 10점 만점에 5점 2023년 가장 중요했던 청년 이슈, ‘취업, 주거, 부채’ 2024년 청년의 삶 예상, ‘더 나아질 것’ 14% 청년들이 희망하는 2024년, ‘풍족한’ 해이길 한국 청년의 작년 한 해 삶 평가가 10점 만점에 5점인 것으로 조사됐다. 3월 12일 목회데이터연구소 주간 리포트 ‘넘버즈’ 제 231호에서는 ‘ 2024 청년의 삶 전망’이라는 제목으로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아래는 조사 결과에 대한 내용이다. 2024 청년의 삶 전망 1. 한국 청년의 작년 한 해 삶 평가, 10점 만점에 5점 현재 정부에서 다수의 청년정책이 제공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청년의 체감 효과는 미미한 상황에서 이와 관련 청년 조사 결과(청년재단/서던포스트)가 나와 이를 살펴본다. 청년으로서의 삶을 10점 만점 기준..
청년이 다수 근무하는 기업 기획감독 결과,14억이 넘는 임금체불, 238건 법 위반 적발 고용노동부, 청년 노동권 보호를 위한 기획감독 결과, 직장 내 괴롭힘·성희롱, 임금체불, 장시간 근로 등 다수의 법 위반사항 확인 ‘청년 휴식권 보호’를 위한 집중 현장 예방점검의 날 후속 추진 고용노동부(장관 이정식)는 청년들이 선호하고 다수근무하는 정보기술(IT)·플랫폼·게임 등 정보통신업과 전문 연구개발 업종 총 60개사를 대상으로 ’23년 12월부터 ’24년 2월까지 집중 기획감독을 실시하고 결과를 발표했다. 감독 결과, 다수기업에서 직장 내 괴롭힘 · 성희롱, 14억 규모의 임금체불, 연장근로 한도 위반, 휴식권 침해(연차휴가, 보상 휴가 부족 부여 등) 등 총 238건의 노동관계법 위반사항을 적발했다. 주로 근로시간을 관리하지 않고 연장근로 한도를 초과하거나, 고정 연장근로수당(OT) 등 포괄..
"청년의 삶을 바꾸는 생활밀착 정책구현” 정부, 청년정책 추진계획 발표 학비, 교통비, 문화비 등 각종 생활비 부담 완화 청년 몸과 마음건강, 안전 관리 지원 청년층 주거 부담 완화 청년층의 결혼·출산 부담을 경감하기 위해 지원 확대 청년의 국정운영 참여채널 확대 청년들에게 청년정책을 더 쉽게 전달하기 위한 통합체계 구축 청년들이 희망을 갖고 미래설계를 할 수 있도록, 자산형성 지원 강화 청년들의 체계적인 자산관리 지원 청년도약계좌와 청년정책과의 연계 강화 정부는 3월 5일(화), 광명 아이벡스 스튜디오에서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 토론회: 열일곱 번째, “청년의 힘으로 도약하는 대한민국”’을 개최했다. 이번 민생토론회는 청년 등 460여 명이 참석해, 청년이 직접 현장에서 겪는 어려움을 호소하고, 정부가 해법을 제시하며 문제를 실제 해결하는 ‘청년신문고’ 형식으로 진행됐다...
성공한 지역창업가가 미래 장인소상공인 육성한다! 3월23일~4월12일, 23년 콘텐츠 기반 장인학교 운영기관 모집 지역에서 성공한 창업가 ‘기업가·장인정신 및 기술교육’을 하는 장인학교를 신설하여 소상공인 장인창업 촉진! 공간기획, 콘텐츠 기획 및 개발, 커뮤니티 기술 등의 현장형 교육프로그램으로 창의적인 기업가형 소상공인 본격 발굴! 중소벤처기업부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은 성공한 지역창업가를 활용하여 콘텐츠에 기반한 현장형 창업교육을 실시하는 장인학교를 올해 처음 시행한다. 장인학교는 청년 예비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성공한 지역기업이나 민간기관이 전통적 소상공인 영역에 새로운 콘텐츠 영역을 접목하여 기업가형 소상공인으로 성장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으로, 기존 이론 위주의 소상공인 교육과 다르게 성공한 창업가의 노하우 등을 기반으로 공간기획, 콘텐츠 기획..
한국인 20대, 10명 중 4명은 ‘다음 세대의 삶 나빠질 것’이라고 생각 “나의 삶은 부모세대보다 좋은 편이다” 한국인 2030과 40대 이상 세대간 평가 간격 매우 커 한국인 20대, 10명 중 4명(42%)은 ‘다음 세대의 삶 나빠질 것’이라고 생각해 한국인 20대, 10명 중 4명(42%)은 ‘다음 세대의 삶 나빠질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3월 9일 목회데이터연구소 주간 리포트 ‘넘버즈’ 제 182호에서는 ‘현 세대 삶 평가, 다음 세대 삶 전망’이라는 제목으로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아래는 조사 결과에 대한 내용이다. 1. “나의 삶은 부모세대보다 좋은 편이다” 한국인 2030과 40대 이상 세대간 평가 간격 매우 커 국제조사기구인 Gallup International Association에서 63개국 성인을 대상으로 현 세대를 평가하고 다음 세대..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