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이예지 기자
컨슈머인사이트, ’24년 여행상품 만족도 조사...항공사 브랜드 선호도
’21년 이후 나홀로 40% 근접...아시아나항공의 3배 넘어
합병 앞둔 아시아나항공은 하락, 에미레이트항공 상승세
대한항공-아시아나 브랜드 통합 때 과반수 가능할지 관심
선호도보다 중요한 이용자 만족도, 가심비에도 신경 써야
저비용항공사 중엔 진에어가 제주항공 제치고 2년째 1위
대한항공이 국내 소비자가 가장 이용하고 싶은 항공사(선호도) 1위를 8년 연속 차지했다. 합병이 사실상 마무리된 아시아나항공의 3배를 넘는 선호도로 독주 체제가 강화됐다. 저비용항공사(LCC) 중에는 진에어가 2년 연속 1위 자리를 지켰다.
데이터융복합·소비자리서치 전문기관 컨슈머인사이트가 2016년부터 매년 수행하는 ‘여행상품 만족도 조사’에서 일반 여행 소비자에게 ‘다음에 가장 이용하고 싶은 항공사는 어디’인지 대형항공사(FSC)와 저비용항공사(LCC) 별로 묻고 그 결과를 비교했다. 조사에서는 FSC 22개 브랜드, LCC 16개 브랜드를 제시했으며 이 중 선호도를 기준으로 각각 상위 6개 브랜드만 비교했다.해당 데이터는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의 빅데이터센터구축사업을 통해, 한국문화정보원 문화빅데이터플랫폼 마켓C에서도 공개되고 있다.
외항사 중엔 에미레이트항공 선호도 높아
여행소비자가 가장 선호하는 FSC 항공사 브랜드는 소비자 5명 중 2명(39.6%)이 선택한 대한항공이었다. FSC 선호도 2위 아시아나항공(12.6%)을 큰 차이로 앞서 8년 연속 선두 자리를 지켰다.
이어 에미레이트항공(9.0%), 싱가포르항공(3.0%), 에어프랑스(1.5%), 유나이티드항공(1.4%) 순이었다. 이들 6개 브랜드는 순위 변동이 거의 없었다.

대한항공 선호도는 최근 4년 연속 40%에 수렴하며 더욱 공고해졌다. 잇단 사내·외 리스크로 선호도가 20% 수준까지 급락한 ’18년에는 2위 아시아나항공과의 차이가 3.7%p로 줄어든 적도 있지만 올해는 27.0%p로 커졌다(참고. 사회적 논란에 추락한 대한항공·아시아나 브랜드 선호도 ’19.02.14).
1, 2위 선호도가 이렇게 벌어진 것은 ’17년 조사 시작 이후 처음이다. 최근 대한항공의 아시아나항공 합병 절차가 거의 마무리 단계에 접어든 것을 고려하면 대한항공의 압도적 우위는 계속될 가능성이 높다.
LCC는 순위 변동 비교적 활발
FSC와는 달리 LCC 부문은 비교적 경쟁이 치열했다. 대한항공 계열인 진에어가 15.1%의 선호도로 2년 연속 1위를 유지했다[그림2]. 2위는 제주항공(13.4%)이었으며 이어 티웨이항공(8.1%), 에어부산(6.7%), 에어프레미아(4.5%), 에어서울(3.5%) 순이었다. 그러나 5명 중 2명은 이용하고 싶은 것이 ‘없다’고 답해 FSC(4명 중 1명)에 비하면 개척 여지가 있다.
*기사의 전체 내용이 궁금하다면?
'비즈니스 사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더만큼 중요한 중간 관리자! 역량 강화의 비법은? (2) | 2024.12.16 |
---|---|
이번에 연말모임 대신 ‘이 것’ 경제·정치 리스크에 달라진 연말 풍경 (1) | 2024.12.16 |
중고차 구입-엔카, 처분-헤이딜러...전문화되는 중고차 플랫폼 (0) | 2024.12.16 |
‘지도’에서 ‘생활밀착 서비스’로 ‘올인원 지도앱’ 최강자는? (0) | 2024.12.16 |
티빙-웨이브 합병 시 4명 중 1명 ‘가입 고려’...요금 올린다면? (4) | 2024.1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