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문칼럼

두산 박정원 회장의 도덕경 리더십 : 직원의 신뢰를 얻어라

728x90
반응형
SMALL
두산 박정원 회장의 신뢰 리더십

[사례뉴스=김용년 필진기자]

信言不美, 美言不信(신언불미, 미언불신)

진실한 말은 아름답지 않고, 아름다운 말은 진실하지 않다.

信言不美, 美言不信(신언불미, 미언불신)

진실한 말은 아름답지 않고, 아름다운 말은 진실하지 않다.

노자는 도덕경에서 진정한 신뢰는 꾸미거나 과장하지 않은 진실에서 비롯된다고 강조합니다. 리더십에서 신뢰는 리더와 구성원 간의 관계를 형성하는 중요한 기반입니다. 리더가 신뢰를 잃으면, 구성원들의 도움과 협력도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신뢰는 리더십의 가장 기본적인 요소이자, 조직의 성공을 결정짓는 핵심 요인입니다.

박정원 회장은 두산그룹의 재도약 과정에서 임직원과의 신뢰를 가장 중요한 가치로 삼는 리더십을 실천하고있습니다. 그는 구조조정과 사업 재편이라는 어려운 상황에서도 투명하게 소통하며, 회사의 방향과 목표를 명확히 전달했습니다. 연료전지와 수소 에너지 같은 신재생 에너지 사업에 과감히 투자하며, 회사의 비전이 말뿐이 아니라 실천으로 이어지고 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이러한 신뢰를 바탕으로 두산은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하며 지속 가능한 미래를 향해 나아가고 있습니다.  (김용년 “도덕경 리더십"에서 발췌)

리더가 신뢰를 얻으려면 먼저 진실함을 보여야 합니다. "진실한 말은 아름답지 않다"는 노자의 가르침은, 진정으로 중요한 말은 화려하거나 듣기 좋은 표현으로 포장될 필요가 없다는 뜻입니다. 리더는 구성원들에게 솔직하고 투명하게 의사소통해야 하며, 자신의 말과 행동이 일치하는 모습을 보여야 합니다. 구성원들은 리더의 일관된 태도와 정직함을 통해 신뢰를 느낍니다. 반대로, 리더가 자신의 약속을 지키지 않거나 화려한 미사여구로 구성원들을 설득하려 한다면, 신뢰는 쉽게 무너질 수 있습니다.

신뢰는 리더의 행동에서도 드러납니다. 리더는 자신의 권위를 앞세우는 대신, 구성원들의 의견을 존중하고 그들의 능력을 신뢰하는 태도를 보여야 합니다. 구성원들에게 자율성과 책임감을 부여하는 것은 단순히 업무를 맡기는 것을 넘어, 그들의 역량을 믿고 지원한다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입니다.

신뢰를 기반으로 한 리더십은 갈등을 해결하는 데도 큰 힘을 발휘합니다. 조직 내 갈등은 종종 소통의 부재나 신뢰의 부족에서 발생합니다. 리더가 구성원들과 신뢰를 쌓아두면, 갈등 상황에서도 서로의 의도를 이해하고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이 자연스럽게 이뤄집니다. 신뢰가 없는 조직에서는 작은 문제도 쉽게 확대되지만, 신뢰를 바탕으로 한 조직은 어려움 속에서도 협력과 조직력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신뢰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리더의 꾸준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신뢰는 단기간에 형성되지 않으며, 오랜 시간 동안 행동을 통해 증명되어야 합니다. 리더가 구성원들의 이야기를 경청하고, 그들의 어려움을 이해하며, 필요할 때 적절한 지원을 제공한다면, 구성원들은 리더를 믿고 따르게 됩니다.

신뢰는 리더와 구성원의 관계를 넘어, 조직 전체의 문화를 만드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신뢰가 높은 조직에서는구성원들이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자유롭게 아이디어를 내며 창의적으로 일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신뢰가부족한 조직에서는 구성원들이 자신의 생각을 숨기고, 리더의 지시에만 의존하는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게 됩니다.

신뢰는 리더십의 핵심이며, 그 시작은 솔직함입니다. 리더가 구성원을 믿고 진심을 다하면, 구성원들도 자발적으로 조직을 위해 헌신합니다. 신뢰를 바탕으로 한 리더십은 조직의 성장과 성공을 이끄는 강한힘이 됩니다. 이것이 도덕경이 전하는 리더십의 중요한 가르침입니다 (김용년 “도덕경 리더십"에서 발췌)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