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말 회식 때문에 스트레스 받는 이유, ‘회식은 업무의 연장선’
가장 선호하는 연말 회식 형태는 ‘주류 미포함 점심식사’
MZ의 과반은 ‘연말 회식 필요 없다’
HR테크 기업 인크루트(대표 서미영)가 직장인 873명을 대상으로 ‘연말 회식에 대한 생각’을 알아보기 위해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먼저, 올해 연말 회식이 예정되어 있는지 물어봤다. 응답자 10명 중 8명(80.1%)이 예정되어 있다고 답했다.
연말 회식을 할 예정인 직장인에게 회식에 대한 스트레스를 받는지 들어봤다. ▲매우 그렇다(19.6%) ▲대체로 그렇다(39.8%) ▲대체로 그렇지 않다(30.6%) ▲전혀 그렇지 않다(10%)로 과반(59.4%)이 스트레스를 받는다고 답했다.
이를 나이별로 교차 분석한 결과, 20대와 30대는 각각 66.7%, 64.2%로 높은 스트레스 비율이 나타났다. 40대와 50대 이상은 49.3%와 44.3%였다.
스트레스를 받는 이유는 무엇일까? ▲회식도 업무의 연장선이라서(31.3%)가 가장 많았고, ▲술을 마셔야 하는 분위기가 싫어서(22.4%) ▲회식의 필요성을 못 느껴서(13.7%) 등이 있었다.

가장 선호하는 연말 회식의 형태는 무엇인지 물어봤다. ▲주류 미포함 점심 식사(40.2%)의 선호가 가장 높았고 ▲주류 포함 저녁 식사(26.2%)가 그다음이었다.
더하여, 연말에 직장 회식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지 들어봤다. ▲매우 필요하다(5.8%) ▲대체로 필요하다(44.9%) ▲대체로 필요하지 않다(37.1%) ▲전혀 필요하지 않다(12.1%)로 의견이 거의 절반으로 갈렸다.
이를 나이별로 교차 분석했을 때, 20대는 46.3%, 30대는 45.9%, 40대는 55.8%, 50대 이상은 66.7%가 연말 회식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렇다면, 연말 회식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일까? ▲유대감 형성의 시간이 필요하다(42.9%)와 ▲회사 돈으로 맛있는 것을 먹을 수 있다(30.5%)가 가장 많았다. 이 중 20대(44.6%)와 30대(39.7%)는 후자를 선택했고, 40대(60.9%)와 50대 이상(55%)은 전자를 선택했다.
반면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이들은 ▲개인 시간을 뺏을 필요가 없다(44.9%)를 이유로 들었다. 이어, ▲회식이 업무나 친목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20.9%) ▲하급자들의 사기 저하(16.7%) 등이 뒤를 이었다.
글/이은희 기자
'비즈니스 사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렌드 코리아’ 김난도 교수, 내년도 만장일치 중요 키워드? ”‘분초사회 시간에 주목” (0) | 2023.12.14 |
---|---|
대통령실, 산재예방시설 융자사업 "내년 1천억 원 이상 증액" (0) | 2023.12.14 |
[일의 의미] 우리에게 필요한 사람다움 (0) | 2023.12.14 |
2023 독서 트렌드 "인생 선배를 통해 삶을 돌아본다"…인터파크 도서 판매 결산 (0) | 2023.12.14 |
이혼한 중년 남성, 1인 가구 중 행복감 가장 낮아! (0) | 2023.1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