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SMALL

스타트업

(104)
기업 체계구축을 위한 3가지? 겸손한 직원·조직혁신에 뛰어난 코치·인내심 뛰어난 대표이사! 체계 구축에는 많은 노력이 필요 체계 만든 사람 따로 일하는 사람 따로 있는 식이면 1년 안에 관료주의로 흐르게 된다 3년마다 직원들의 프로젝트에 의해 유의미한 조직 혁신이 일어나야 조직 혁신이 문화인 기업이라 할 수 있어 학습하는 조직문화 필요! 지난 6월 21일 ‘일잘 팀장은 경영부터 배운다’ 저자 여현준 작가는 자신의 페이스북에 체계 구축에 대한 글을 게재했다. 아래는 여현준 저자의 글 내용이다. 직원 수 10만 단위 대기업에 새로운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드는 시간은 정상급 팀이 투입되었다고 가정했을 경우 약 3~5년 정도다. 직원 수 스무 명 안팎의 작은 회사에 새로운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드는 시간은 나 같은 사람의 경우 혼자 관리 회계 체계를 잡고, 데이터 모델을 구축하는데 6개월 정도가 걸린다...
스타트업의 파티는 끝났다...유니콘 기업, 확장보다 생존에 집중해야 혁신성장의 아이콘, 유니콘 기업.. 상장 일정에 차질 생겨 물가 상승으로 기준금리 인상, 뒤바뀐 투자 정세 아이디어 의존보다 지속가능한 경영의 토대 마련 필요 마켓컬리, 야놀자, 무신사… 이 기업들의 공통점은 바로 ‘유니콘 기업’에 속한다는 것이다. 유니콘 기업은 혁신성장의 아이콘으로 떠오르며 한국 경제의 반전을 꾀하겠다는 목표 하에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을 받았다. 유니콘이 되는 건 모든 스타트업이 꿈꾸는 목표다. 조 단위 가치를 인정받은 국내 유니콘 기업들은 주식시장에 입성하겠다는 계획으로 기업 가치를 높여왔다. 재작년 코로나19로 인한 불경기를 극복하기 위해 각국 정부는 시장에 돈을 풀었다. 사람들은 시장에 넘쳐나는 돈으로 주식시장을 비롯해 전망 좋은 벤처기업에도 투자를 시작했다. 그러나 요즘 세계적..
[인터뷰] Digital Transformation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치과계의 최초 혁신을 가져온 '이노바이드' 전 세계 치과와 기공소를 전산으로 연결하는 치과 기공의 플랫폼이자 솔루션을 제시하다! 지난 6월 24일 최초의 치과와 기공소 사이의 기공물 거래 관리 플랫폼인 DentLink의 기획/개발을 이루어낸 이노바이드의 국진혁 대표님과 인터뷰를 진행했다. 인터뷰를 통해 DentLink 이외에도 다양한 이노바이드만의 솔루션과 서비스, 목표와 직원 복지에 대한 이야기를 나눌 수 있었다. 아래는 이노바이드 국진혁 대표님과의 인터뷰 내용이다. Q: 치과계에 새로운 지평을 열어주신 이노바이드에 대해서 간단한 소개 부탁드립니다. A: 이노바이드는 전 세계 치과와 기공소를 전산으로 연결하는 치과 기공의 플랫폼이자 솔루션을 만드는 회사다. 치과 쪽에서 Digital Dentistry 라고 해서 치과 업무들이 굉장히 디지털화 되..
휴양지에서 근무를?...네이버의 '워케이션' 네이버...다음달 워케이션 업무 도입 휴가지에서 일과 휴식을 동시에 즐기는 근무형태 다양한 근무형태...기업 장점으로 자리잡아 네이버가 다음달부터 춘천과 일본 도쿄에서 워케이션 업무를 도입한다. 워케이션이란? 워케이션은 일과 휴가의 합성어로 휴가지에서 일을 하는 동시에 휴식도 즐기는 근무 형태를 말한다. 일정 기간동안 휴양지에서 근무하며 퇴근 후에는 여행이나 운동과 같은 여가 활동을 즐길 수 있다. 네이버의 워케이션 매주 신청 직원 중 10명씩 추첨을 통해 최대 4박5일의 워케이션을 지원한다. 추점을 통해 선발된 직원은 현재 거점 오피스를 운영 중인 춘천과 도쿄 등 거점도시에서 최대 4박5일동안 워케이션을 할 수 있다. 네이버 외에도 라인플러스, 티몬, 야놀자, CJ ENM 등 여러 기업이 현재 워케이션..
영화 '인턴'으로 바라본 스타트업 성공 방법 '사랑과 일, 일과 사랑 그것이 인생의 전부이다.' 스타트업 어바웃더핏의 성장 기반은 바로 '열정' 영화 의 주인공 줄스는 스타트업 회사 '어바웃더핏' 대표이다. 전업주부였던 그녀는 아이디어 하나로 창업을 시작했다. 처음 25명으로 시작한 사원 수는 1년 만에 220명의 직원으로 늘었났다. 영화 속 '어바웃더핏'은 뜨고있는 스타트업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렇다면 '어바웃더핏'이 1년동안 급격히 성장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일까? 스타트업 회사가 성공하기 위해선 많은 요인들이 존재한다. 은 많은 성공요인에서 '사랑'에 집중한다. 줄스의 조력자인 70세 인턴 벤은 전문경영인 CEO고용으로 고민하는 줄스에게 이런 말을 한다. "경험이 많은 사람이 들어올 수 있지만 그 누구도 사장님이 아는 것을 대신할 수는 없..
[인터뷰] “투명·합리적·간편” MZ세대 마음 사로잡은 ‘오딩’ 유태민 대표의 경영비결 가격 정찰제 통해 고객에게 투명한 정보 제공 합리적인 가격과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고객 관리 기존의 웨딩 플래너를 대체하는 디렉팅 서비스 운영 통계청에 의하면, 2021년 혼인건수는 19만 3천 건으로 전년대비 9.8% 감소했다. 결혼에 골인하는 신혼부부의 수가 매년 10% 가까이 줄어들기 때문에, 웨딩 산업은 사양 산업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전체적인 시장의 크기가 줄어듦에 따라 기존의 웨딩 시설들이 많이 없어지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웨딩 산업은 20조원 규모의 아주 큰 서비스 시장이다. 또한 대형 업체 한 곳이 50%이상을 점유하고 있는 독점 시장도 아니다. 여전히 큰 성공을 거둘 수 있는 웨딩 산업에서, ‘스몰 웨딩’ 이라는 트렌드를 캐치하고 뛰어난 경영 전략으로 국내 스몰 웨딩 업계를 이끄는 인물..
여행으로 지속 가능한 지역을 만드는 '낭만농객', 사라져 가는 지역을 여행합니다 인구소멸위험지역 46.5%…도시와 농촌의 양극화를 여행으로 풀어가는 스타트업 '낭만농객' 강원도 철원 양지리 창고 프라이빗 영화관 오픈 예정 인구 소멸 위험지역은 국내 행정구역 중 인구 감소 등으로 소멸 위기에 있는 지역을 뜻한다. 소멸 위험지수가 0.5 미만인 지역으로, 65세 이상 인구가 20~39세 여성의 수보다 2배 이상 많은 곳을 가리키는데, 2021년 한국 고용정보원에 따르면 소멸 위험지역은 전국 228개 지자체 가운데 106곳으로, 46.5%를 차지했다. 이런 상황에서 도시와 농촌의 양극화를 여행으로 풀어가며, 인구 소멸 위험지역에 활기를 북 돋우는 스타트업이 있다. 바로 '낭만농객'. 낭만농객은 로컬의 여유로운 일상을 그대로 느낄 수 있는 자연스러운 여행 프로그램 '농당', 소멸 위험 지역..
메타버스는 ‘머리로 먹는 약’…국내 기업 심리상담∙정신과 치료에 메타버스 도입해 가상현실 소프트웨어, 환자의 상상력 넘은 '기술'로 단계별 치료에 적용 메타버스로 내담자를 상담사에게 연결... 심리 치료에 '방문' 부담 낮춰 게임형 가상현실 치료제, 악당 물리치며 ADHD 치료 가능해 가상현실을 이용한 헬스케어 시장 규모는 2019년 21억 4,000만 달러(약 2조 4,600억 원,시장조사업체 베리파이드마켓리서치)에서 2027년 332억 2,000만 달러(약 38조 2,200억 원)까지 성장 가능성을 보이고 있다. 가상현실 소프트웨어, 환자의 상상력 넘은 '기술'로 단계별 치료에 적용 미국 가상현실 치료법 전문 기업 베하VR은 가상현실의 가능성을 정신건강 치료에 시도하며 새로운 치료법 개발에 집중했다. 베하VR은 치료자가 다양한 환경의 시뮬레이션을 환자에게 제공해 다양한 경험을 제..

반응형
LIST